식물 표면온도 5

물과 사이다 속에서 식물은?

액체 종류별로 동일한 체적으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액체량은 비이커에 200ml로 유지하였다. 액체는 물과 사이다로 선정하였는데, 사이다 속의 탄산농도는 0.784%, 당의 농도는 8.4%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잎의 개수는 초기에 6개가 좌우 대칭의 형태가 되도록 그림과 같이 조절하였다. 2014년 10월의 7일간 12시간 간격으로 액체의 높이와 잎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성장 특성을 파악하였는데, 동시에 정성적으로 잎의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호일로 싼 페트병을 비이커 내에 설치하여 식물 시료 고정시키고, FLIR사의 T-250 열화상카메라를 같은 위치에 고정시켜 쥐똥나무의 온도를 열화상이미지로 촬영하였다. 촬영된 열화상이미지에서 4번 잎의 5지점에 대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식물 표면온도 2020.10.12

다양한 시판 음료 액체 속에서 식물의 반응은?

인간의 주변에는 다양한 식물들이 존재하고 있고, 가끔은 식물들이 살고 있는 환경 조건들 중에서 검은색으로 보이는 개천물 속에서도 일부 식물종이 살아가고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의 성장에 대한 다양한 외부 환경 조건들과 관계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기본적인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액체와의 연계성을 실험적으로 제시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하였다. 식물의 성장에 다양한 외부조건들이 변수들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길이 혹은〮 잎수 등의 조절이 용이한 식물을 선정하여야 한다. 그러한 이유로 작은 높이의 가로수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활엽수인 물푸레나무과의 쥐똥나무(문화어:검정알나무)를 동일한 잎수와 잎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다양한 종류의 액체 속..

식물 표면온도 2020.10.12

전자파는 식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일상생활에서 아주 다양한 전자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분명히 전자파가 많이 배출되고 있다는 것도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알려진 다양한 과학적 정보와 실험 결과들로부터 전자파를 차단하는 식물(스투키 등)들은 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물 분자들이 전자파를 흡수하는 원리로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기전자제품 중에서 최대량의 전자파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가정용 전자레인지 앞에 산세베리아과의 스투키(Stucki)와 대조군으로서 보통 도로변에 많이 보이는 쥐똥나무(Privet)들을 위치시켰다. 실내에서 몇일 동안 물을 주고 키웠던 식물들을 전자레인지 앞에 두고 5분 작동, 5분 비작동을 연속으로 3회 반복하면서, 동시에 전자레인지와 식물 사이의 거리도 5cm, 10c..

식물 표면온도 2020.09.16

식물 혹은 나무는 어떻게 아픈 잎이나 가지를 알 수 있을까요?

저번 포스팅한 블로그에 "식물의 표면 온도와 식물이 낙엽을 만드는 원리는?"를 다시 읽어 보니 설명이 부족하여 어렵게 느껴지더군요. 다시 수정하려니 이미 읽으신 분들이 많으셔서, 그냥 여기서 정리를 한번 하겠습니다. 식물 혹은 나무의 잎이 낙엽이 되는 현상은 본인의 생존과 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4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더욱 낙엽을 만드는 것이 식물 혹은 나무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 중요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핵심입니다. 1. 봄부터 가을까지는 물이 풍부하지만, 겨울부터는 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물이 부족한 것을 식물은 어떻게 알게 되는가 ? 식물은 생각하는 뇌가 있는가 ? 2. 특히, 겨울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낮아 물의 밀도가 커져 뿌리가 물을 흡수하기 어렵다. 식물 ..

식물 표면온도 2020.09.11

식물의 표면 온도와 식물이 낙엽을 만드는 원리는?

활엽수인 물푸레나무과의 쥐똥나무(문화어:검정알나무)를 액체(물과 사이다) 속에 동일한 잎수를 가지도록 준비하였고, 특히 열화상 촬영 등을 위하여 잎들의 위치를 비이커 속에 고정하고 물과 사이다 속에서 잎의 온도 변화를 실험하였다. 위의 그림에 표시된 물과 사이다 속의 1번과 3번 잎의 표면온도를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하고 이를 평균하여 주위온도와 함께 나타내었다. 밤 9시부터 시작되어 주위온도는 다음날 일출 전까지 점차 낮아져 5℃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잎 앞면의 온도도 비슷한 온도차이 만큼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일출 후에는 주위온도가 약 29.3℃ 까지 증가함에도 잎 표면온도는 시작온도까지만 상승하는 포물선 형태의 온도변화를 나타내었다. 즉, 식물 주위의 온도는 크게 변화하더라도 잎 자신의 ..

식물 표면온도 20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