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9

냉온수기에서 나오는 물의 온도는 몇도 ?

요즈음 쉽게 냉온수기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냉수와 온수로 아주 편리하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냉온수기의 크기가 혹은 온수 버튼의 높이가 어린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도이어서 위험 혹은 경고표시가 있기는 합니다. 가끔식 컵라면에 더운물을 냉온수기의 온수를 이용하더라도 충분히 스프를 잘 녹이고 라면 면발이 잘 풀려지는 것을 경험하신 분들은 많겠죠. 그럼 과연 몇도 정도인지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위의 이미지는 둘다 초기 배출할 때 입니다. 온수는 79.8도, 냉수는 6.5도 정도입니다. 약 2분 후 온수는 87.9도, 냉수는 6.1도 정도입니다. 그리고 온수 최대 온도는 89.5도까지, 냉수 최저 온도는 5.3도 이었습니다. 냉수는 모르겠지만 온수 온도는 생각보다 높은 상태이니, 반드시 ..

젖소의 체온에 대하여...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비접촉식 온도 측정 방법으로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들로부터 젖소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였고,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실험은 천안에 위치한 젖소 농장을 2017년 4월 말경에 방문하여 젖소들을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하여 분석한 결과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젖소는 오전 오후에 착유 과정을 위해 이동하기 전에 온도계를 이용하여 항문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얻어진 젖소의 각 부위별 온도가 기존 논문들에서 제시한 방법들에 의한 온도와 거의 유사한 범위로 38℃에서 41℃로 머리 부분에서는 온도가 가장 높은 부위는 39℃~41℃ 정도의 눈, 귀, 그리고 코 부위이었다. 특히, 눈 주위의 온도가 높으면서 높은 부위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넓어 표지 위치로..

동물 피부온도 2020.09.02

식물의 표면 온도와 식물이 낙엽을 만드는 원리는?

활엽수인 물푸레나무과의 쥐똥나무(문화어:검정알나무)를 액체(물과 사이다) 속에 동일한 잎수를 가지도록 준비하였고, 특히 열화상 촬영 등을 위하여 잎들의 위치를 비이커 속에 고정하고 물과 사이다 속에서 잎의 온도 변화를 실험하였다. 위의 그림에 표시된 물과 사이다 속의 1번과 3번 잎의 표면온도를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하고 이를 평균하여 주위온도와 함께 나타내었다. 밤 9시부터 시작되어 주위온도는 다음날 일출 전까지 점차 낮아져 5℃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잎 앞면의 온도도 비슷한 온도차이 만큼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일출 후에는 주위온도가 약 29.3℃ 까지 증가함에도 잎 표면온도는 시작온도까지만 상승하는 포물선 형태의 온도변화를 나타내었다. 즉, 식물 주위의 온도는 크게 변화하더라도 잎 자신의 ..

식물 표면온도 2020.09.01

출근 차동차 워밍업부터 주차장 도착까지 본넷 열화상이미지

첫 블로그 글입니다. 저는 대학에서 열전달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열전달이라는 현상은 온도를 측정하여 아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저는 그 온도를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제가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한 인공 현상, 자연 현상, 식물, 동물들의 이미지를 여기 블로그에 올리려고 합니다. 사용한 열화상카메라는 FLIR사의 T-250모델 입니다. 8월 4일 아침에 출근하려고 차량 워밍업부터 16분 후 주차장 도착까지 차량 전면 본넷 부분의 온도를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하였습니다. 촬영시 방사율은 0.95 이었습니다. 시동을 걸자 자동차 전면 본넷의 온도가 주위온도보다 높은 33.1도로 높아졌습니다. 약 1분 뒤에 본넷의 라디에이터 그릴의 온도가 상당히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가 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