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9

Daum 다음 카카오 검색 왜 이럴까요?

지난 10년간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많은 공학 주제들에 대한 연구 성격의 실험들을 하였습니다. 그러한 시간들 사이에 스스로 궁금한 자연 현상 혹은 우연히 알게 된 자연 현상들을 정확하게 깨닫기 위해 온도로 나타나는 많은 것들을 실험한 결과를 이제 블로그로 만들었습니다. 개인의 목표는 지난 10년간의 결과를 한번에 정리를 하자면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니, 각각의 주제와 내용들을 정리하려 시작하였습니다. 물론 글에 대해 읽어주시는 분들의 평도 꼭 듣고 싶구요. 둘째 아들 초등학생에게 읽혀 충분한 피드백을 받고 적은 글들을 수정하고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논문의 성격을 가지는 내용들은 고민입니다. 어떻게 초등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적을 수 있는지... 저의 역량이 얼마까지 일지 지켜봐 주십시요. ..

카테고리 없음 2020.09.11

전기 코드선의 플러그 핀을 만지고 뜨겁다는 경험은 온도가 몇도 쯤이기에...

저도 가끔식 집에서 진공 청소기로 집안 청소를 한답니다. 보통 1시간 정도 걸리는 거 같습니다. 청소기로 청소하고 나서 전기 코드선을 콘센트로부터 뽑을 때 혹시 코드선의 끝 부분인 금속 핀 부분을 잡아보셨나요? 집의 청소기 소비전력이 1000W가 넘는 제품이라 순간 실수로 잡게 되었는데, 깜짝 놀랐습니다. 이유는 생각보다 뜨거웠기 때문입니다. 아래 사진은 우리가 흔히 보는 전기 코드선 플러그와 콘센트입니다. 일명 돼지코라고 부르는 플러그의 앞부분은 핀이라고 부르는 두 개의 원형 금속이 있죠. 그리고 콘센트는 두 개의 핀을 꽂게 되는 두 개의 구멍이 있습니다. 제가 잡은 부분은 바로 플러그의 금속 핀 부분을 잡은 것입니다. 집에 있는 아래의 사진과 같은 콘센트의 내부에는 사진의 오른쪽과 같이 노란색의 금속..

태양 복사 혹은 실내 복사가 열화상카메라의 이미지와 온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요?

다양한 분야로 적용 영역을 넓히고 있는 열화상카메라의 활용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여러 가지 환경 인자들 중에서 태양 복사 혹은 실내 복사가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에 영향을 끼쳐 나타나는 표면 온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봅시다. 실내에서 거리별로 측정되는 인체의 얼굴 온도는 상당히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인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열화상카메라에 도달하는 적외선의 강도가 변화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8m 거리에서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에서의 얼굴 최대 온도는 33.5℃인데, 점점 온도가 상승하여 1m 거리에서는 34.9℃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 거리는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2019년 7월 9일 오전 08:40분 경..

카테고리 없음 2020.09.08

붉은 귀제비의 중요한 생태 건축 특성과 피부 온도는?

전래동화 "놀부와 흥부"에는 제비가 등장합니다. 제비는 저희 나라에는 철새로 서식하고 있습니다. 주로 서식하는 제비에는 두가지가 있답니다. 제비와 귀제비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일반 제비의 집은 처마밑 등의 위치에 입구가 넓은 형태입니다. 그러나 아래와 같이 생긴 붉은 귀제비는 터널 형태의 집을 짓습니다. 이 집은 제가 일하는 건물의 일층에 지어진 것입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붉은 귀제비는 진흙으로만 집을 짓는다고 하지만 실제 제가 확인한 아래 사진을 보면 마른 풀을 일부 혼합하여 알갱이를 만드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제가 일하는 건물에는 지난해 벽 공사 이후 모든 제비집이 다 없어졌다 2020년에 제비들이 돌아온 이후에 7개의 붉은 귀제비 집이 만들어졌습니다. 그 중에서 독특한 형태 2가지를 소개합니다..

동물 피부온도 2020.09.07